경제
-
미국과 이란의 핵협상이 깨진 비밀경제 2022. 7. 26. 18:40
(이란 혁명수비대) 1. 이란 정권은 혁명수비대가 지탱하고 있음 2. 혁명수비대의 제일 밑바닥에는 바시즈라는 민병대가 있음 3. 바시즈는 11살부터 가입이 가능한데, 신념과 활동을 평가해서 승급하게 되고, 대학생의 40%, 대학원생의 20% 이상을 의무적으로 바시즈 대원으로 채워야 하는 등 국가 차원의 우대가 장난이 아님 4. 이란 전역에 5만 개의 바시즈 지부가 있고, 1,500만 명의 바시즈 대원이 정권을 지탱하고 있음. 5. 바시즈 대원중에서 똘똘한 얘들을 혁명수비대 군사학교로 보내서 혁명수비 대원을 양성함. 혁명수비 대원은 15만 명임 6. 이란 청년은 한국 청년이 군대를 가듯이 세 군데 중의 한곳을 다녀와야 함. 혁명수비대와 군대, 의무경찰임. ..
-
터키가 튀르키예로 바뀐 이유경제 2022. 7. 25. 01:21
1. 터키가 튀르키예가 됨. 2. 튀르키예는 "튀르크인의 땅"이라는 말이고, 튀르크는 "용감한 민족"이라는 뜻이니, 튀르키예는 "용감한 민족의 땅"이라는 뜻임. 3. 기존 국명인 터키도 같은 단어가 영어로 변하며 발음이 변한 것이라, 고려가 코리아가 되었는데 다시 고려로 불러달라는 정도의 의미임. 4. 큰 의미도 없는데, 사회적인 비용을 많이 들여가면서 튀르키예로 이름을 바꾸는 이유는 에르도안 때문임. 5. 터키 대통령 에르도안은 고등학생 때인 1970년 이슬람 청년 구국당 대표로 선발되며, 정치에 발을 담그기 시작함. 6. 20년 이상 정치권에서 놀던 에르도안은 1994년, 한국으로 치면 서울시장급인 이스탄불 시장에 취임하며 4년 임기를 시작함. 7. 에르..
-
인보사 부활하나?경제 2022. 7. 22. 00:37
인보사가 소송에서 1승을 올렸다고 합니다. 어떤 일인지 기억이 가물가물 할듯 해서 정리해봅니다. 1. 인보사는 노인이 되면 생기는 퇴행성관절염 치료제임. 2. 나이가 들면, 무릎의 연골이 맛이 가서 잘 걷지를 못함. 3. 인보사는 연골을 성장시키는 세포를 무릎에 주사해서 치료를 하는 방식임. 4. 2017년에 식약처 승인이 나서, 국내 시판이 되었는데, 미국 수출을 하려고 FDA에 승인신청을 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견 됨. 5. 인보사는 두가지 액체를 섞어서 주사를 함. 6. 1액은 유전자 조작을 하지않은 인간의 연골세포이고, 2액은 연골이 재생되는 활성화물질을 넣은 유전자조작 연골세포임. 7. 문제는 2액이 연골세포가 아니라, 사산한 태아의 콩팥에서 뽑아낸 콩팥세포로 밝혀진 것..
-
독일 탈원전 근황경제 2022. 7. 21. 22:40
1. 러시아에서 독일로 천연가스를 공급하는 파이프라인인 노르트 스트림1은 메르켈의 전임 슈뢰더 총리가 시작한 사업임. 2. 슈뢰더 총리는 개인적인 욕심으로 노르트 스트림1을 추진했다는 욕을 지금도 듣고 있음. 3. 노르트 스트림1을 착공하고 총리직에서 물러난 후, 러시아와 독일 간 가스를 공급하는 국영기업 가스프롬의 이사직에 올랐고, 또 다른 러시아 국영 석유기업 로스네프트의 이사장을 지금도 맡고 있기때문임. 4. 발트해 바닷속으로 독일과 러시아 간 천연가스를 공급하는 노르트 스트림 2를 건설한 회사가 바로 그 로스네프트이기도 함. 5. 독일 메르켈은 원전 찬성론자였음. 진보정부가 수립한 탈원전 정책에 의한 원전 수명연장 중단을 취소해서 원전수명을 연장하는등 친원전 정..
-
신재생 에너지와 테슬라경제 2022. 7. 21. 22:28
한국에서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이 제주도임. 2. 풍력과 태양광 발전을 많이 깔다보니, 한국 평균의 3배가 넘는 18%까지 재생에너지 비중이 올라 감. 3. 풍력과 태양광의 문제는 낮과 밤, 날씨, 계절에 따른 편차가 너무 크다는 점임. 4. 태양광은 여름,낮시간에 잘 들어오다 겨울이나 밤이되면 발전이 멈추고, 풍력 역시 날씨에 따라 편차가 큰 것임. 5. 재생에너지 비중이 18%인 현재도 제주도는 남는 재생 에너지를 버리고 있음. 6. 2020년에 77회(19GWh) 가동을 멈춰 에너지를 버렸고, 2021년에 130회(30GWh)를 버렸음. 2030년에 목표한 재생에너지 비중 30%가 되면 1년에 절반쯤은 전기를 만들수 있는데도 가동을 멈춰서..
-
중국 완다그룹 부도설의 뒷 이야기경제 2022. 7. 12. 17:06
여의도에 완다 그룹 디폴트와 관련한 찌라시가 돌았습니다. 완다 그룹이 어떻길래 이런 찌라시가 도는지 알아봅니다. 일부 추정이 들어가 있으니, 감안해서 읽으시기 바랍니다. 1. 작년 9월부터 중국 부동산그룹인 헝다의 파산 가능성이 높아짐. 2. 헝다는 단순한 부동산 중개회사가 아님. 포천지 기준 세계 기업 랭킹 122위의 대기업임. 3. 시행만 하는 게 아니라 시공도 하기 때문에 우리로 치면 분양회사와 시공 건설사가 합쳐진 회사로 봐야 함. 4. 헝다의 부채 규모는 2조 위안으로 한국 돈으로 355조임. 5. 헝다는 시진핑이 건드려서 맛이 가기 시작함. 6. 헝다가 진행하던 사업 중 가장 큰 사업은 한화 27조 규모의 하이난 지역 공사였는데, 중앙 정부가 태클..
-
아베 사망의 파급효과경제 2022. 7. 10. 18:47
1. 미국이 금리를 계속 올리기 시작함. 2. 돈은 리스크가 같다면 수익이 높은 곳으로 몰려다니는 속성이 있음. 3. 어느 나라든 미국이 금리를 올리는 수준으로 금리를 따라 올리지 않으면 국내에 들어온 자금이 미국으로 이동하게 됨. 4. 한국은행이 울며 겨자 먹기로 금리를 따라 올리는 이유이기도 함. 5. 일본은 미국이 금리를 계속 올려도 금리를 따라 올리지 않고, 지정가 매입 오퍼레이션을 씀. 6. 지정가 매입 오퍼레이션은 일본은행이 무제한으로 국채를 지정가에 매입해서 강제적으로 금리를 누르는 정책을 말함. 7. 주식으로 생각하면, A 기업 주식을 은행이 무조건 1주당 만 원에 사준다고 가정하면, A 기업에 엄청난 적자가 발생해도 어차피 은행..
-
조선업에 수퍼사이클이 오는가?경제 2022. 7. 5. 07:14
1. 조선주 마지막 슈퍼사이클은 2003년부터 2007년까지 였음. 2. 지나고 보면 슈퍼사이클이었지만, 그 당시 상황은 녹녹치 않았음. 3. 2003년의 한국 조선사들은 선박 수주는 잘 되고 있는데, 후판 가격이 급등해서 조선사들은 적자가 급증하기 시작함. 4. 2~3년 전 수주한 배들을 갑자기 오른 후판 가격으로 건조를 하려다 보니 조선사들 적자는 늘었지만, 중고선가와 신조선가가 계속 올라감. 5. 후판 가격 추가 상승이 멈춰지고 오른 신조선가로 수주를 받은 배들의 잔금을 받는 2005년부터 조선사들이 적자에서 흑자로 돌아서기 시작함. 6. 2004년부터 조선소 독이 꽉 차기 시작하니, 중고선가가 빠르게 올라가며, 신조선 건조에 투기적 수요가 붙기 시작함. ..